본문바로 가기

 대표전화 : 064-717-1488

제주지역암센터

주메뉴

홈 암관리사업부지역암등록통계사업

지역암등록통계사업

암예방을 위한 다양한 교육 및 홍보사업을 수행합니다.

제주도 지역암등록통계사업

  • 소개
    암등록사업은 우리나라 암발생률을 산출하고 모니터링 하는 것을 목적으로 환자의 정보를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집 관리하는 사업입니다.
    제주도 지역암등록본부는 2001년도에 등록사업의 타당성 조사를 시행하여 어떤 방법으로 등록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효율적인가를 확인하였으며, 2001~2021년도의 21개년을 거치면서 등록사업을 수행해 오고 있습니다. 또한, 2003년 5월 29일 제정된 암관리법에 근거하여 제주도 지역암등록본부로 지정을 받아 제주도 지역암등록사업을 공식적으로 추진할 계기를 마련하였습니다. 2009년 3월 제주지역암센터가 개원하면서 제주도 지역암등록본부는 제주지역암센터로 이관하여 2010년도부터 암등록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목표
    • 단기목표 : 신뢰성 있고 타당성 있는 제주도 지역 암발생 통계 산출
    • 장기목표 : 국제 공인의 제주도 지역 암발생 통계 산출
      1
  • 추진체계
    추친체계
  • 사업 법적 근거
    제14조(암등록통계사업) ①보건복지부장관은 암 발생 위험 요인과 암의 발생 및 치료에관한 자료를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하여 암 발생률, 생존율 등의 통계를 산출하기 위한 등록·관리·조사사업(이하 “암등록통계사업”이라 한다)을 시행하여야 한다. 이경우 통계자료의 수집 및 통계의 작성 등에 관하여는「통계법」을 준용하며, 통계의 산출을 위하여 처리되는 개인정보는「개인정보 보호법」제58조제1항에 따라 같은 법이 적용되지 아니하는 개인정보로 본다. <개정 2011.3.29>②보건복지부장관은 암환자를 진단·치료하는 의료인 또는 의료기관,「국민건강보험법」에 따른 국민건강보험공단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그 밖에 암에 관한 사업을 하는 법인·기관·단체에 대하여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암등록통계사업에 필요한 자료의 제출이나 의견의 진술 등을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자료의 제출을 요구받은 자는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요구에 따라야 한다.
  • 암환자에 대한 개인정보 취급
  • 제주도 지역암등록본부는 [공공기관의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법률] 및 [개인정보보호법]의 규정에 따라 수집, 보유 및 처리하는 개인 정보를 공공업무의 적절한 수행과 국민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적법하고 적정하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주도 지역암등록사업의 통계조사결과의 원자료 및 주문형 자료를 필요로 하는 이용자를 위하여 자료 제공할 경우, 반드시 개인의 비밀을 보호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자료를 제공하며, 또한 이용자가 주문하는 통계표 형태로도 원자료를 가공처리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가능한 자료를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1. 2019년 제주도 지역 암등록통계


2019 암 발생현황 비교: 전국

01

 

2019 기대수명까지 생존 시 암 발생 확률

제주도민이 기대수명(83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6.1% 이었으며,남자(80세)는 40%, 여자(86세)는 28.8%가 암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됨.

02

 

2019 주요 암의 발생분율: 남녀전체

2019년 남녀 전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폐암이었으며, 이어서 대장암, 위암, 갑상선암, 전립선암 순으로 많이 발생함.

03

 

2019 주요 암의 발생분율: 성별

남자는 전립선암, 폐암, 대장암, 위암, 간암 순으로 많이 발생하였으며,여자는 유방암, 갑상선암, 대장암, 폐암, 위암 순으로 많이 발생함.

04

 

암 발생률

  • 조발생률(Crude Rate, CR): 해당 관찰기간 동안 특정 인구집단에서 새롭게 발생한 암환자수(상피내암 제외)를 전체인구로 나눈 값으로 일반적으로 인구 100,000명당 발생하는 비율로 표시된다.
  • 연령표준화발생률(Age-Standardized Rate, ASR. 이하, 발생률): 각 연령군에 해당하는 표준인구의 비율을 가중치로 주어 산출한 가중평균발생률로 연령 구조가 다른 지역간 또는 기간별 암 발생률을 비교하기 위해 사용한다. 본 소식지의 표준인구는 우리나라 2000년 주민등록연앙인구를 사용하였다.
    • 표준인구: 연령군을 0-4, 5-9, …, 80-84, 85세 이상 연령군으로 나누어 각 군에 해당하는 인구의 비율을 표시한 표로 제시되며, 국가 혹은 세계 기준의 표준인구를 사용할 수 있다.
  • 연간 % 변화율(Annual Percent Change, APC): 암 발생률 추이를 요약하는 지표 중 하나로, 로그를 취한 연도별 연령표준화발생률에 대한 선형 추세선의 기울기를 구한 뒤 지수함수를 취한 값이며, 암 발생률의 연평균 % 변화량으로 해석된다.
  • 연간 % 변화율 평균(Average Annual Percent Change, AAPC): 1999 ~ 2019년 동안 연간 % 변화율의 평균을 의미한다.
  • 수행방법: 제주도 지역암등록본부는 보건복지부의 지정을 받아 제주도 지역 암 발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1999년 이후 악성암(이하 암) 등록자에 대한 발생통계를 산출하였다.

 

암 발생자수/조발생률(CR) 추이: 남녀전체

2019년 모든 암의 조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461명 이었음.

05

 

암 발생자수/조발생률(CR) 추이: 남자

남자의 경우 모든 암의 조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515.1명 이었음.

06

 

암 발생자수/조발생률(CR) 추이: 여자

여자의 경우 모든 암의 조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406.2명 이었음.

07

 

2019 주요 암의 조발생률(CR): 성별

남자는 전립선암, 폐암, 대장암, 위암, 간암 순이었으며,여자는 유방암, 갑상선암, 대장암, 폐암, 위암 순이었음.

08

 

2019 주요 암의 연령표준화발생률(ASR, 이하 발생률) : 성별

남자는 전립선암, 폐암, 위암, 대장암, 간암 순이였으며, 여자는 갑상선암, 유방암, 대장암, 폐암, 위암 순이였음.

09

 

주요 암의 연령표준화발생률(ASR, 이하 발생률) 남녀전체

남녀전체에 있어 주요 암의 5년 연령표준화발생률(이하, 발생률) 추이를 보면 유방암, 전립선암은 증가하였으며, 갑상선암, 대장암, 위암, 폐암, 간암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10

 

주요 암의 연령표준화발생률(ASR, 이하 발생률) 남자

남자에 있어 주요 암의 5년 연령표준화발생률(이하, 발생률) 추이를 보면 전립선암은 증가하였으며, 위암, 대장암, 폐암, 간암, 갑상선암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11

 

주요 암의 연령표준화발생률(ASR, 이하 발생률) 여자

여자에 있어 주요 암의 5년 연령표준화발생률(이하, 발생률) 추이를 보면 유방암은 증가하였으며, 갑상선암, 대장암, 위암, 폐암, 자궁경부암, 간암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12

 

2019 모든 암의 연령표준화발생률(ASR, 이하 발생률) 비교: 전국

13

 

암 생존율

  • 상대생존율(Relative Survival Rate, RSR. 이하, 생존율): 해당 기간 중 발생한 암환자가 5년 이상 생존한 확률을 추정한 것으로 암 이외의 원인으로 사망했을 경우의 효과를 보정하기 위하여 관찰생존율을 일반인구의 기대생존율로 나누어 구한 값이다.
    * 암 발생자와 동일한 연도, 성별, 연령의 일반인 5년 기대생존율과 비교한 해당 암환자의 5년 생존할 확률로 상대생존율이 100%라면 일반인의 생존율과 동일한 것을 의미함.
  • 암 진행 정도(요약병기, Summary Stage)
    • 암이 발생한 장기로부터 진행한 정도를 범주화한 병기 분류로 미국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SEER) 프로그램에서 개발함.

      암 진행 정도

      설명

      국한(Localized) 암이 발생한 장기를 벗어나지 않음
      국소 진행(Regional) 암이 발생한 장기 외 주위 장기, 인접 조직, 또는 림프절을 침범
      원격 전이(Distant) 암이 발생한 장기에서 멀리 떨어진 다른 부위에 전이
      진행 정도 모름(Unknown) 병기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 수행방법: 제주도 지역암등록자료에서 1999년부터 2019년까지 암을 진단받은 환자 중 통계청 사망자료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전산망에서 2019년 12월 31일까지 생사가 확인된 환자에 대해 생존율을 분석하였다

 

모든 암의 5년 상대생존율(RSR, 이하 생존율) 추이

남녀전체에 있어 모든 암의 최근 5년 상대생존율(이하 생존율) 추이는 2005~2009년 대비 8.1%p 증가, 2010~2014년 대비 15.6%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14

 

주요 암의 5년 상대생존율(RSR, 이하 생존율) 추이: 남녀전체

남녀전체에 있어 주요 암의 최근 5년 상대생존율(이하 생존율) 추이를 살펴보면,갑상선암(99.9%), 전립선암(93.1%), 유방암(92.6%)이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나, 폐암(31.8%), 담낭 및 기타담도암(23.9%), 췌장암(16.2%)은 낮은 생존율을 보였음.

15

 

주요 암의 5년 상대생존율(RSR, 이하 생존율) 추이: 남자

남자에 있어 주요 암의 최근 5년 상대생존율(이하 생존율) 추이를 살펴보면, 갑상선암(99.7%), 전립선암(93.1%), 신장암(91.4%)이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나, 폐암(27.2%), 담낭 및 기타담도암(24.9%), 췌장암(14.1%)은 낮은 생존율을 보였음.

16

 

주요 암의 5년 상대생존율(RSR, 이하 생존율) 추이: 여자

여자에 있어 주요 암의 최근 5년 상대생존율(이하 생존율) 추이를 살펴보면, 갑상선암(99.9%), 유방암(92.7%)이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나, 간암(32.4%), 담낭 및 기타담도암(23.1%), 췌장암(18.4%)은 낮은 생존율을 보였음.

17

 

2015~ 2019 주요 암의 5년 상대생존율(RSR, 이하 생존율) 추이: 남녀전체, 병기별

남녀전체에 있어 최근 5년간(2015~2019년) 진단된 모든 암환자의 요약병기별 상대생존율(이하 생존율) 을 살펴보면, 국한 89.6%, 국소 69.7%, 원격 24.8%, 모름 54.5%이었음.

18

 

암 유병률

  • 암 유병자수: 1999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암을 진단받은 환자 중 2020년 1월 1일 기준 생존해 있는 암환자 수로 정의되며, 암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뿐 아니라 완치된 암환자로 포함. 다중원발암 환자의 경우는 중복으로 계산되었다.
  • 조유병률: 해당 관찰기간동안 특정 인구집단의 유병자수를 전체인구로 나눈 값으로, 인구 100,000명당 암 유병자의 비율
  • 연령표준화유병률: 연령구조가 다른 지역별 또는 기간별 암 유병률을 비교하기 위해 각 연령군에 해당하는 표준인구1) 의 비율을 가중치로 부여해 산출한 가중평균유병률
  • 수행방법: 암 유병률은 암 발생과 암 생존의 영향을 하나로 종합하여 암의 부담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암 유병률 분석을 위해서 제주도 지역 암발생통계를 산출하기 시작한 1999년부터 2019년까지 암발생자료를 이용하여 2019년 12월 31일까지 사망 여부를 추적하였다.

1) 표준인구: 우리나라 2000년 주민등록연앙인구

 

모든 암의 유병현황: 2019

제주도 지역 암발생통계를 산출하기 시작한 1999년부터 2019년까지 암 유병자는 총 10,046명(남 5,251명, 여 4,795명) 이었음.

(단위: 명, %, 명/10만 명)

모든 암의 유병현황: 2019

구분

유병자수

전체인구 중
암유병자 분율

조유병률

연령표준화
유병률

모든 암 남녀전체 10,046 1.5 1,514.1 991.8
남자 5,251 1.6 1,572.6 998.0
여자 4,795 1.5 1,454.8 1,019.4

연령표준화유병률: 우리나라 2000년 주민등록연앙인구를 표준인구로 사용(시점간/지역간 비교에 활용)
* 기준: 2020년 1월 1일

 

주요 암의 유병자 분율: 남녀전체, 2019

암종별로 살펴보면, 대장암 유병자수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위암, 갑상선암, 유방암, 전립선암 순이었음.

19

 

주요 암의 유병자 분율: 성별, 2019

남자의 경우 대장암, 전립선암, 위암, 폐암, 간암 순이었으며, 여자의 경우 유방암, 갑상선암, 대장암, 위암, 폐암 순이었음.

20

 

암등록통계 자료요청 안내

  • 제주도 지역암등록본부에서는 지역사회 내 기관 및 개인에게 암등록통계 자료를 제공해 드리고 있습니다. 신청과 관련한 문의사항은 제주도 지역암등록본부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064-717-1508).
  • 암등록통계자료 활용
    • 암등록통계자료의 소유권은 국가로 하되 다음의 경우에는 기관 또는 개인에게 제공 가능
      - 대학, 연구기관 또는 연구자, 의료기관 등은 암 관련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암등록통계자료를 이용하고자 할 때에는 자료요청서를 제출하고, 이때 제공되는 자료는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의 자료로 제공되어야 함.
    • 중앙암등록본부 및 지역암등록본부에 소속된 연구자가 암등록통계자료를 이용하여 국내외 학술지에 연구논문을 발표하는 경우 발표한 학술지에는 자료원의 출처(국가 암발생 DB)를 밝혀야 함.
      - 기관 또는 개인이 중앙 및 지역 암등록본부의 승인을 받아 암등록통계자료 활용시에도 연구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해서는 아니됨.

출처: 2021년도 국가 암등록통계사업 안내, 「보건복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