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방암

유방암이란

  • 발생 부위
    • 유방은 기름샘이 변형된 형태로 피부의 한 부속기관입니다. 젖샘의 위치는 수직으로는 늑골 두 번째부터 여섯 번째에 이르고, 수평으로는 흉추에서부터 겨드랑이 중심선에까지 이릅니다. 유방의 주요 기능은 출산 후 수유의 기능을 담당하여 아기의 성장에 필수적인 영양을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 유방암이란 유방 밖으로 퍼져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악성 종양입니다. 발생부위에 따라 유관과 소엽 등의 실질조직에 생기는 암과 그 외 간질조직에서 생기는 암으로 나눌 수 있으며, 유관과 소엽에서 발생하는 암은 다시 암세포의 침윤 정도에 따라 침윤성 유방암과 비침윤성 유방암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남성 유방암은 여성 유방암의 약 1% 이하의 빈도로, 침윤성 유관암이 가장 흔합니다.

 

유방암의 예방

  • 위험 요인
    • 유방암의 위험요인으로는 비만, 음주, 유방암 가족력이 있으며, 호르몬과 관련된 위험요인은 이른 초경, 늦은 폐경, 폐경 후 장기적인 호르몬 치료, 모유 수유를 하지 않은 경우, 첫 출산 연령이 늦은 경우가 있습니다.
  • 예방법
    • 암은 여러 가지 원인 인자들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유방암을 예방하거나 피할 수 있는 간단하고 쉬운 방법은 없습니다. 금연, 절주, 적당한 운동, 적정 영양 상태의 유지(신선한 야채, 과일 섭취), 가능하면 30세 이전에 첫 출산을 가질 것, 그리고 수유 기간의 연장 등을 통하여 어느 정도 예방이 가능합니다. 또한 유전적 요인으로 유방암이 발생할 확률이 높을 경우에는 전문가와 상의하여 항호르몬 제제를 복용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
  • 조기 검진
    • 매달 유방 자가 검진을 실시하고, 국가암검진 프로그램은 만 40세 이상 여성이면 1~2년 간격으로 유방 촬영술 및 의사에 의한 유방 임상 진찰을 실시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유방암의 진단

  • 일반적 증상
    • 유방암의 초기에는 대부분의 경우 아무런 증상이 없으며, 유방의 통증은 초기 유방암의 일반적인 증상은 아닙니다. 가장 흔히 나타나는 증상은 통증이 없는 멍울이 만져지는 것입니다. 그밖에 유두에서 피가 섞인 분비물이 나올 수 있으며, 암이 진행하면 유방 피부가 오렌지 껍질같이 두꺼워질 수도 있습니다.
  • 진단 방법
    • 유방 병소의 진단은 자가 검진 및 임상 진찰, 방사선 검사(유방촬영술, 유방 초음파술 등), 생검 등이 있습니다. 유방에 덩어리가 만져진다고 모두 유방암은 아니며 섬유낭성질환, 섬유선종 등의 양성질환인 경우가 더 흔합니다. 그밖에 전산화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등의 검사를 시행합니다. 대부분의 유방 통증 자체는 유방암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유방암의 치료

  • 치료방법
    • 유방암의 치료는 대표적으로 수술, 약물요법, 방사선 치료가 있습니다. 아주 조기의 유방암을 제외하고는 수술 후 항호르몬요법이나 항암화학요법 혹은 둘을 다하게 되는데, 그 선택은 환자의 연령, 폐경의 유무, 종양의 크기 및 액와부 림프절의 전이 정도, 환자의 다른 건강 상태에 따라서 의사가 정합니다.
    • 수술이 가능한 경 - (선행화학요법)-> 수술-> 수술 후 보조요법(보조화학요법-> 방사선치료/호르몬요법)
    •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 - 항암화학요법/ 호르몬치료/ 방사선치료
  • 치료의 부작용
    • 수술 후 장기적 부작용으로는 림프 부종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항암제의 가장 흔한 부작용은 탈모, 구역, 구토, 전신 쇠약, 백혈구 감소증(쉽게 감염이 생길 수 있다), 혈소판 감소증(피가 쉽게 나며 잘 멈추지 않는다), 조기 폐경 등입니다. 항호르몬 치료제인 타목시펜으로 인한 부작용은 안면홍조, 불규칙한 생리, 질 내 분비물 등이 있으며 드물게 체액 저류, 우울증, 피부 홍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재발 및 전이
    • 유방절제술 후 국소 재발은 80%-90%가 처음 치료 후 5년 이내에 발생하고 거의 대부분의 경우 10년 이내에 발생하지만, 처음 수술로부터 15-20년이 지난 후에 발생하는 경우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유방보존술 후의 국소 재발에는 유방보존술과 방사선치료를 병행한 환자의 약 10-15%에서 국소재발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전이 장소로는 뼈에 전이되는 경우가 가장 많고, 그 다음 폐, 간, 중추신경계 등의 순서입니다.

국가암정보센터 유방암 정보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