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암
대장암이란
- 발생부위
- 대장암은 소장의 끝부분인 오른쪽 복부 밑에서 시작하여 항문으로 연결되는 긴 튜브 모양의 소화기관인 대장에서 발생합니다.
- 정의 및 종류
- 대장암은 결장과 직장에 생기는 악성 종양을 말합니다. 대장암의 대부분은 대장의 점막에서 발생하는 선암입니다. 선암 이외에도 림프종, 악성 유암종, 평활근육종 등이 원발성으로 생길 수 있습니다.
대장암의 예방
- 위험요인
- 대장암 발병의 위험요인으로는 50세 이상의 연령, 붉은 육류 및 육가공품의 다량 섭취, 비만, 음주, 가족 중 대장암이 있는 경우, 가족성 대장 용종증, 선종성 대장 용종, 만성 염증성 대장 질환 같은 관련질환이 있는 경우입니다.
- 예방법
- 규칙적인 운동으로 활동량 높이고, 절주를 하며, 정기적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또한, 섬유소 섭취, 칼슘의 충분한 섭취, 붉은 고기(소고기, 돼지고기)의 지나친 섭취 줄이기를 해야 합니다.
- 조기검진
- 국가 암검진 프로그램은 만 50세 이상이면 1년 간격으로 분변잠혈반응검사를 하고 이상 소견이 있을 경우 대장내시경검사 또는 대장이중조영검사를 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장암 검진 권고안에 따르면 50세 이상이면 5~10년 마다 대장내시경 검사 또는 대장이중조영검사를 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대장암의 진단
- 일반적 증상
- 대장암 초기에는 대부분 아무런 증상이 없으며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이미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습니다. 대장암의 주된 증상으로는 배변습관의 변화, 설사, 변비, 배변 후 후중기(변이 남은 느낌), 혈변 또는 점액변, 복통, 복부팽만, 피로감, 식욕부진, 소화불량, 복부 종물 등이 있습니다.
- 진단방법
- 대장암의 약 35%(직장암의 약 75%)가 직장수지 검사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합니다. 그 외 대장조영술, 에스결장경, 대장내시경 등이 시행되고 있는데, 이 중 대장 전체의 관찰이 가능하고 검사와 동시에 조직검사를 할 수 있는 대장내시경이 대장암 진단에 가장 효과적이고 정확한 검사로 추천되고 있습니다. 직장출혈이 있는 경우는 대장 용종, 치질, 게실증, 혈관이형성, 궤양성 대장염, 감염성 장염, 허혈성 장염, 고립성 직장궤양 등과 감별진단해야 하며, 배변 습관의 변화가 있는 경우는 염증성 장질환, 감염성 설사, 약제 복용, 과민성 장증후군, 복부 종괴가 만져지는 경우 양성 종양, 게실증, 크론병, 결핵, 아메바증 등과 감별해야 합니다.
대장암의 치료
- 치료방법
- 대장암은 종양의 크기가 아니라 종양의 조직 침투 정도에 따리 치료 방법을 결정하며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를 함께 병행합니다. 대장암의 치료에 있어서 수술적 치료는 가장 근본이 되는 치료이며, 항암제 치료는 수술 후 재발의 위험을 낮추기 위한 치료인 보조 항암화학요법과 전이가 되거나 재발이 된 경우 생명 연장을 위한 치료인 고식적 항암화학요법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그리고, 진행성 직장암에서 방사선 치료와 함께 사용되기도 합니다.
- 치료의 부작용
- 대장암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는 폐합병증, 문합부 누출, 출혈, 장폐색, 상처가 잘 아물지 않거나 곪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에스결장암 또는 직장암 수술 시 암이 배뇨와 성기능에 관여하는 신경에 침범되어 있거나 아주 근접한 경우 불가피하게 신경을 같이 절제하기도 하며, 수술 시 신경을 절제하지 않더라도 암 절제수술로 인해 신경으로 가는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수술 후 일시적으로 배뇨장애 및 성기능 장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항암화학요법의 부작용에는 백혈구나 혈소판 감소증, 탈모, 오심, 구토, 피로 등이 있으며, 방사선 치료의 부작용은 골반부 통증, 배변 습관의 변화, 배뇨장애, 항문 통증, 설사, 탈모 등입니다.
- 재발 및 전이
- 대장암의 재발은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하여도 20~50%에서 발생하며, 대부분이 국한된 장소에 단독으로 발생하는 것보다 국소재발과 원격전이가 동반되는 광범위한 재발이 많아 근치적 절제에 한계가 있습니다. 재발이 가장 흔한 장소는 간전이 및 국소재발이며 대장암은 간전이 및 복강 내 재발이, 직장암은 국소재발 및 폐전이가 흔하게 일어납니다.